NEW 테마

    실시간 HOT 컬렉션

      프로젝트

        블록체인으로 만든 어플, 디앱(DApp)

        2023.03.17
        by.
        avatar 로이스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이란 무엇일까요?

         
        디앱은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의 약자로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앱을 말합니다. NFT, 코인은 토큰 형태이며 이것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디앱'이라고 불러요. 예를 들어 애플 IOS와 같은 운영체제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앱스토어에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것과 같아요.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이 운영체제 역할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이 ‘디앱'인 것이죠. 유니스왑과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부터 스테픈 같은 NFT 기반의 서비스도 모두 디앱에 포함되어요. 

         

        우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중앙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저장되며 운영사가 모든 데이터를 제어하고 관리해요. 하지만 디앱은 이러한 중앙 서버가 없으며 모든 권한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위임해요. 블록체인을 돌아가게 하는 다수의 노드(서버)가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눠 갖는 것이죠. 따라서 중앙 서버 관리자가 없더라도 노드 조직에서 네트워크가 관리될 수 있어요.
        이렇게 운영자 없이 유저 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스마트 컨트랙트' 덕분인데요. 오늘은 디앱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개념과 디앱의 형태 및 장단점을 살펴볼게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전자 계약서에 작성하고, 이 계약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실행되는 시스템이예요. 

         

        이해하기 쉬운 예시로 설명하자면 ‘1000원을 받으면 1코인으로 바꾸어준다’라는 계약 내용을 코딩으로 프로그래밍했다고 가정해볼게요. A가 1200원을 B에게 전송했다면 B가 몇 개의 코인을 보내야 할지, 얼마의 거스름돈을 주어야 할지 프로그래밍 된 계약 내용이 자동으로 실행되어요.

         

        기존 시스템은 계약을 처리할 때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3의 관리자가 필요했지만,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내용, 계약 이행 여부가 자동으로 이루어기 때문에 중개자가 필요 없어지며 블록을 만들고 있는 수많은 노드가 거래내역을 나누어 확인하기 때문에 위변조되거나 해킹될 위험이 사라져요.

         

        디앱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도입되면서 생겨났어요.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음 도입한 후 개발자가 계약 조건 및 내용을 직접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많은 디앱이 생겨났죠.

         

        디앱의 형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앱은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에요. 금융기관이 거래를 매개하는 중앙화된 거래소와 달리 탈중앙화 거래소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유저간 직접 거래하게 되어요. 예를 들어 DEX에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간편하게 스왑 거래를 할 수 있어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더리움 코인을 A코인으로 바꾸고 싶을 때 DEX가 이용되는 데, 이러한 거래를 ‘스왑'이라고 불러요. 스왑하고 싶은 이더리움과 A 코인의 비율을 확인해서 거래를 실행시키면, 즉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스마트 컨트렉트에 따라 자동으로 스왑 거래가 진행돼요. 완료된 즉시 이용자의 메타마스크 지갑에 스왑한 가상화폐가 전송되어요.

         

        P2E(Play2Earn)이나 M2E(Move2Earn)과 같이 플레이를 통해 NFT나 코인을 리워드로 얻게 되는 서비스들도 모두 디앱이라고 칭할 수 있어요. 게임 플레이를 통해 일정 조건을 수행하면 스마트 계약이 실행되어 보상이 지급되는 것이죠.

         

        이외로 메타버스, NFT 마켓플레이스, DeFi 등 블록체인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도 대부분 디앱이라고 불리고 있어요.(디앱 순위보기)

         

        디앱의 장단점

         

        디앱의 가장 큰 장점은 보안성과 투명성입니다. 중요 데이터를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에 신뢰가 보장된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점이죠. 이러한 점이 코인을 거래하는 탈중앙화 거래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해요. 금융기관의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코인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제3자 없이도 믿고 맡길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에 반해 게임이나 메타버스 등의 소셜 서비스에서는 ‘토큰이코노미'가 주요한 장점이 됩니다. 소셜 서비스 내의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토큰으로 인센티브를 줄 수 있어 서비스 참여도를 높일 수 있어요.

         

        토큰 인센티브는 경제적 가치를 주기도 하지만 토큰 소유자들에게 서비스 의사 결정권을 준다거나 서비스의 참여권한을 주기도 해요. 이를 통해 토큰이 단순 경제적 이익 뿐 만 아니라 서비스 내에서 다시 소비되면서 하나의 경제 생태계를 이루어 갈 수 있어요. 

         

        하지만 디앱은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치명적인 단점도 존재해요. 바로 속도와 비용입니다. 블록체인에서는 하나의 계약을 성사시키려면 블록을 하나 생성해야 하는데, 하나하나 검증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앱보다 처리 속도가 느립니다.

         

        만약 많은 사람이 몰리는 소셜 서비스라면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겠죠. 또한, 블록을 하나 생성할 때마다 생성자(노드)에게도 보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수료도 발생해요. 근본적으로 사용자가 느낄만한 불편함이 아직 많이 남아있어요. 

         

        디앱은 기존 서비스의 운영방식과는 매우 달라요. 디앱은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이끌고 기존의 중앙집권화된 서비스를 탈중앙화 서비스로 바꿔 줄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어요. 이미 많은 디앱이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앞서 말한 단점 때문에 대중적인 서비스로 성장하진 못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앞으로의 디앱의 성장 여부는 속도와 비용을 개선하는 데에 있을 것으로 보여요. 현재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장 많이 구동되고 있는 플랫폼으로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빠른 속도로 이더리움의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곤, 솔라나 등 레이어 2 블록체인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어요.

         

        과연 사용자의 확장을 불러올 수 있는 플랫폼과 디앱은 무엇이 될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요!